우리나라의 결혼문화는 신랑측에서 비용을 더 많이 쓰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신혼집부터 결혼식 당일 필요한 사소한 비용들까지 신랑이 지불해야 할 목록들을 살펴봅니다.

* 신혼집 마련 신혼살림을 시작할 집은 신랑이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정석입니다. 하지만 가정형편에 따라 신부측에서 부담하거나 두 사람이 함께 마련하는 경우도 그리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좋은 집을 골라 신혼집 마련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엔, 혼수를 줄이고 신부측에서 신혼집 마련에 그 비용을 더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양측에서 미리 상의해서 결정하도록 합니다. 여기에 부수적으로 들수있는 부동산 수수료와 도배및 장판, 인테리어 수리비는 남자 쪽에서 부담합니다.
* 신부를 위한 결혼예물 결혼반지와 시계, 보석류 등 신부예물은 신랑측 부모님이 준비합니다. 경제사정에 따라 하이클래스를 추구할 것인지, 실용적으로 예물세트 대신 일상에서도 착용하고 다닐수 있는 아이템 두어가지만 구입할것인지는 신부와 신부측 부모님의 의견을 수렴해서 결정합시다.
* 웨딩드레스&한복&예복 보통 웨딩드레스와 신부한복을 포함해서 결혼식이 끝나고 하객들에게 인사를 할때 입는 애프터 드레스나 정장류 등 신부가 입을 의상 일체는 신랑측에서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웨딩 컨설팅이나 협력업체, 혹은 웨딩홀의 토털상품으로 준비한다면 협의하에 반반씩 부담할 수도 있습니다.
* 결혼식 사회및 주례비 결혼식 사회자나 주례에 대한 사례는 부탁한 쪽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사회나 주례는 대부분 신랑의 지인이 많이 하므로, 신랑측에서 거의 부담합니다. 현금도 좋지만 백화점 상품권이나 신혼여행에서 구입한 선물로 대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결혼식 뒷 풀이 비용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친구들과의 뒤풀이 비용은 신랑측에서 부담합니다. 뒤풀이 자체가 신부보다는 신랑 친구들을 위한 자리라고 많이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